“연합뉴스는 왜 브라우저 호환성을 신경쓰지 않는 것일까.”라는 글을 얼마 전에 올리긴 했지만 아무리 해도 해도 너무한다는 생각이 들어 또 한번 갈무리 화면을 올린다. 연합뉴스에는 파이어폭스를 쓰는 사람이 한 명도 없을 거라고 나는 확신한다. 그나저나 어떻게 만들면 이런 화면이 나오는 것일까.
클릭하면 크게 보입니다.
“연합뉴스는 왜 브라우저 호환성을 신경쓰지 않는 것일까.”라는 글을 얼마 전에 올리긴 했지만 아무리 해도 해도 너무한다는 생각이 들어 또 한번 갈무리 화면을 올린다. 연합뉴스에는 파이어폭스를 쓰는 사람이 한 명도 없을 거라고 나는 확신한다. 그나저나 어떻게 만들면 이런 화면이 나오는 것일까.
클릭하면 크게 보입니다.
5월2일 SBS가 보도한 “차기 정권과 거래? 인양 지연 의혹 조사”라는 기사는 한국 언론사에 기록될 중요한 사건이다. 기본적인 팩트 조차 제대로…
10년을 끌어왔던 삼성에버랜드 사건이 일단락 됐다. 대법원은 지난달 29일 에버랜드 전환사채(CB)를 헐값에 발행해 회사에 손해를 끼친 혐의 등으로 기소돼 1심과…
신자유주의에 맞설 논리를 만들어야 합니다. 앞서 여러차례 지적했던 것처럼 FTA를 체결하면 농업이 죽는다는 논리만으로는 신자유주의에 맞설 수 없는 상황이 됐습니다….
우리나라의 오마이뉴스는 시민저널리즘의 선구적인 사례로 꼽혔다. 2000년 중반까지만 해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모델이었지만 오마이뉴스를 벤치마킹한 시민저널리즘 모델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고 주류…
주변에 보면 이명박 찍었다는 사람은 없는데 그는 지금 우리나라의 대통령이다. 한나라당은 집권여당이면서 다수당이다. 서울시장과 경기도지사도 한나라당이다. 서울시민들은 심지어 공정택 같은…
한국경제신문이 발행하는 고교생 논술 주간지 ‘생글생글’의 발행부수가 33만부를 넘어섰다. 2005년 6월에 창간, 최근 113호를 펴낸 생글생글은 타블로이드판으로 매주 24면 발행된다….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
firefox를 고려하지 않는가 봅니다.
저도 2.0.0.12 버전인데.. 많이 깨지는 군요
이상하네요. 저도 파이어폭스를 사용하는데 그럭저럭 보입니다.
2.0.0.12을 사용하고 있고요. 혹시 나 해서 리눅스를 이용해 들어갔는데, 역시 볼만합니다. iframe을 이용한 부분에서 부분적으로 한글이 깨지는 것 말고는 기사 읽기에는 크게 불편한 것이 없네요. 리눅스에서는 joins.com은 무거운 플래쉬가 많아서 읽기 어렵네요.
사실 제 생각에는 이 정도면 우리나라 웹사이트 중에서는 무난한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굳이 연합뉴스를 꼭 집어서 탓 할만한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라나라 현실의 반영이라고 봐야 할 거 같습니다.
기사의 논지와 조금 어긋났지만, 파폭의 경우는 그래도 양반 아닐까요.
허용되는 곳도 있고 말이에요. 오페라는 정말 눈물겨워요. 웹브라우져의 다양성을 인정해달라고 촉구하는 사람들을 요즘은 이해할 수가 없어요. ‘최소한 파폭에서만이라도 되게 해달라’라는 망언을 일삼는 분들 보면 그저 답답합니다. 할꺼면 다해야지 왜 파폭만.. 인지 이해가 안가네요. 이런 사람들이 많을수록 드는 생각은 ‘그냥 IE만 남고 다 죽어버렸으면..’입니다.
언젠가 좋아지겠죠. 어떤 브라우져를 쓰더라도 무리없이 웹생활을 즐길 수 있게(쇼핑,인뱅 등 포함) 변화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