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위기의 시대에 중립을 지킨 자들을 위해 예약되어 있다. / 알리기에리 단테, ‘신곡’ 지옥편 가운데.
Similar Posts
입맛대로 골라쓰는 OECD 조삼모사 통계.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임금이 구매력 환산 기준으로 미국이나 일본보다 높다는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자료를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보도하지 않았다. 반면 OECD 회원국 가운데 지난해…

솔루션 저널리즘에 대한 5가지 오해.
(민주언론시민연합 기고입니다.) 소설가 김훈이 지난해 5월, “아, 목숨이 낙엽처럼”이라는 제목의 칼럼을 한겨레에 썼다. 건설 현장에서 추락사하는 노동자가 해마다 270명 이상이라고…

저널리즘 씽킹, 기자들처럼 생각하고 기자들처럼 써보자.
(월간 인물과사상에 “이정환의 미디어 전략 강좌”라는 제목으로 연재하고 있는 글입니다. 2019년 4월호에 실린 3편입니다.) 청와대 국민 청원에 올라왔던 두 건의…
“은행에 사회적 책임 강제해라.”
은행에 사회적 책임을 강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4일 금융경제연구소와 투기자본감시센터가 외환위기 7년을 맞아 개최한 ‘위기 이후의 한국’이라는 주제의 토론회에서 게리…
“이건희, 전자와 생명 둘 중 하나 포기해야. “
[인터뷰]재벌 연구 권위자, 김진방 인하대 경제학부 교수 우리는 삼성 특검과 출자총액제한제도 폐지가 동시에 진행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삼성의 광범위하고 조직적인…

익숙한 것들과의 결별, 광고 중독을 끊어야 저널리즘이 산다.
(민중의소리 창간 20주년 특별 기획으로 기고한 글입니다.) 물이 빠지면 누가 발가벗고 수영을 했는지 알 수 있다. 익숙한 기시감이지만 위기와 재난이…
One Comment
Leave a Reply Cancel reply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
멋진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