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jeonghwan.com

“한미FTA 진짜 목표는 미국 제도 이식하는 것.”

한미자유무역협정(FTA) 조기 비준을 위한 정부와 여당의 막판 밀어 붙이기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의도가 관세 인하 또는 철폐가 아니라 상대 국가에 미국 제도를 이식하는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24일 금융경제연구소 포럼에서 정태인 전 청와대 비서관은 “관세를 인하 또는 철폐하면 우리나라도 수출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지만 정작 문제는 미국 제도가 들어오고 그것이 역진 불가능하다는데 있다”고 지적했다.


정 전 비서관은 가장 극단적인 사례로 제약산업이 가장 발달한 미국이 왜 약값이 가장 비싼가 생각해 보라고 반문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동아제약의 연구개발 투자는 미국 화이자의 150분의 1에 지나지 않는다. 당장 제약산업이 개방되면 미국 기업을 차별화할 수 없게 된다. 특허 기간이 연장되고 저작권 보호가 강화되면 제네릭 약품 판매에 의존하던 우리나라 제약산업은 송두리째 미국에 먹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가뜩이나 이명박 정부는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와 민간 의료보험 활성화를 의료 산업화라는 명목으로 밀어붙이고 있다. 여유 있는 사람들은 돈을 더 내고 더 좋은 서비스를 받도록 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헌법재판소는 2002년 건강보험 강제 가입이 합헌이라는 판결을 내린 바 있다. 그러나 정 전 비서관은 “만약 헌재 재판관들이 모두 민간 의료보험에 가입했을 때도 그들이 합헌 판결을 내릴 것 같으냐”고 반문한다.

한미FTA는 자동차 수출을 늘리겠지만 당장 약값 폭등과 의료비 지출 확대를 불러올 전망이다. 정 전 비서관은 묻는다. “감기 약값이 10만원으로 치솟고 맹장 수술이 100만원이 되고 4인 가족 의료보험료가 500만원으로 치솟게 되면 그때 가서 건강보험을 확대하거나 되돌리는 일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나. 미국 제약회사들이나 보험회사들이 가만히 있을 것 같은가. 당장 투자자 국가 소송을 제기하고 수천억원의 손해 배상을 받아낼 것이다.”

한미FTA가 통과되고 나면 제약산업 뿐만 아니라 국내 산업을 보호할 장치가 모두 사라지게 된다. 수도와 전기, 가스, 철도 등 네트워크 산업에 대한 정부 지원도 소송 대상이 된다. 한미FTA 협상단은 우체국 사업의 정부 독점을 5년 안에 없애겠다는 약속도 했다. 정 전 비서관은 “시골에 전기와 수도가 끊기거나 제대로 공급되지 않고 편지 한통 부치는데 몇천원씩 줘야 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경고한다.

이날 포럼에서는 한미FTA 경제효과가 터무니없이 과장됐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신범철 경기대 경제학과 교수에 따르면 정부가 인용하고 있는 6% 추가 성장은 일반균형모형(CGE)을 두 번이나 돌려서 얻은 결과다. 당초 경제 효과가 0.4% 수준으로 국민 1인당 6만원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나자 여기에 자본축적과 생산성 증대 효과를 감안해 다시 CGE 모델에 산입, 6% 성장과 1인당 120만원이라는 결과를 얻어냈다는 이야기다.

신 교수는 “한미FTA의 경제 효과가 6%라는데 이게 사실이고 이명박 정부의 성장 목표 7%를 감안, 실제로 10% 이상 성장이 가능하다면 농가 보조 같은 것도 필요 없다”고 분석했다. 정 전 비서관은 “정부가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한일FTA와 관련해서는 CGE 정태 모델만으로 경제효과를 산출한 것과 비교된다”고 지적했다. 홍기빈 금융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만약 경제 효과 모형을 몇 차례 더 돌리면 100% 성장도 가능할 것”이라고 비꼬았다.

참고 : 한미FTA 혜택이 20조원? 터무니 없는 헛소리! (이정환닷컴)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