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사고를 조사했던 민군합동조사단이 조사발표 닷새 전까지 애를 태우다가 쌍끌이 어선 수색 마지막 날 어뢰 부품을 수거했다고 중앙일보가 보도했다.
중앙일보는 28일 “쌍끌이 수색 마지막날 어뢰 부품 극적 수거”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국제사회가 미심쩍어하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있었으나 이명박 대통령은 ‘한국에는 국운이 있다, 결정적인 증거가 나올 테니 지켜보자’며 낙관적인 생각을 했다”고 청와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어뢰 부품을 발견한 걸 두고 왜 국운이라고 생각했는지는 의문이지만 “15일 쌍끌이 어선이 어뢰 추진체를 수거하자 이 대통령은 밝은 표정을 지었다고 한다”는 대목은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 이 신문은 “청와대에선 ‘대통령 말대로 국운이 있는 것 같다’ 등의 얘기가 나왔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청와대는 조사발표를 20일로 못 박아두고 발표일이 임박할 때까지 결정적 증거가 확보되지 않아 애를 태웠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조사단이 20일에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밝힌 건 8일부터다. 그러나 여러 정황을 미뤄 보면 조사단은 15일까지도 극소량의 화약성분과 알루미늄 조각 외에는 별다른 증거를 확보하지 못했던 것을 보인다.
이 같은 정황은 28일 동아사이언스 보도에서도 확인된다. 조사단에 합류했던 정정훈 한국기계연구원 시스템엔지니어링연구본부장은 “발표 전날 이미 1초 시점까지의 시뮬레이션을 끝냈지만 동영상으로 만들 시간이 부족해 0.5초까지만 공개했다”고 설명했다. 조사단이 시뮬레이션 작업이 채 마무리 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발표 일정을 서둘러 잡았다는 걸 알 수 있다.
청와대가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남북 대치국면을 의도적으로 부추기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박선원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연구원은 “우리 정부가 미국 정부에 조사발표를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주기인 23일로 하자고 요청했는데 미국 측에서 곤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는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진보신당은 28일 성명을 내고 “정부도 공식 인정했듯이 이번 조사결과 발표는 중간발표”라면서 “아직 의문점이 많은 조사결과를 왜 공식발표 시점인 7월을 두 달이나 앞두고, 그것도 선거가 시작되는 5월 20일에 발표했느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진보신당은 “정부의 천안함 발표는 지방선거용 발표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노회찬 진보신당 서울시장 후보는 “만약 지방선거가 7월 2일이었으면 중간조사결과 발표를 6월 20일에 하려고 했느냐”고 반문하고 “지금의 상황은 자연스레 조성된 것이 아니라 평화가 두려운 사람들이 조성한 것이자, 전쟁이 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국민들 사이에 팽배하기를 바라는 사람들이 조성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한편 중앙일보에 따르면 “이 대통령이 모두 발언을 할 때 100여명의 장성을 모두 일으켜 세운 다음 듣도록 한다’는 점을 검토했으나 군에서 상당히 강하게 반대해 무산됐다”고 전했다. “군이 ‘대통령 앞에서 장성들이 벌을 서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면 군 사기가 크게 떨어진다’고 주장하자 청와대가 ‘일리있다’며 받아들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