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저녁 서울 강남구 대치동 그레텍 본사 강당에서는 한국 정치사상 그리고 언론사상 초유의 실험이 진행됐다. 대선 예비 후보로 나선 문국현 전 유한킴벌리 사장이 50여명의 블로거들과 자리를 함께 하고 세 시간 가까이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았다. 간담회 형식을 빌렸지만 내용은 합동 기자회견과 비슷했다. 태터앤미디어와 블로터닷넷이 공동 주관한 이날 행사는 대선 후보 릴레이 간담회의 첫 번째 순서였다.
이날 모임이 기자회견과 다른 점이라면 우선 참석자들이 기자가 아니라 일반 유권자들이라는 사실이다. 선거법에 따르면 대선 예비 후보가 유권자들 모임에 참석해 지지를 호소하면 사전 선거운동으로 선거법 위반이 된다. 그 대상이 일반 유권자들이 아니라 블로거들이라도 마찬가지다. 다만 선거관리위원회는 만약 블로거들이 인터넷 신문의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면 기자회견 형식의 모임이 가능하다고 유권해석을 내린 바 있다.
이 행사를 처음 준비했던 태터앤미디어는 블로그 저작도구인 태터툴즈를 만드는 회사다. 국내 설치형 블로그의 90% 이상이 태터툴즈를 쓰고 있을 정도로 대중화된 저작도구다. 블로터닷넷은 블로거와 기자(리포터)를 합성해 만든 말이다. 1인 미디어 공동체를 표방한 이 사이트는 문화관광부에 인터넷 신문으로 등록돼 있다. 태터앤미디어는 블로터닷넷과 공동으로 행사를 주관해 선관위의 규정을 피해나갈 수 있었다.
블로거들은 일반 유권자들 입장에서 질문을 던졌고 문 후보의 답변을 자신들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기록했다. 이날 모임에서 블로거들은 화자면서 동시에 기자가 됐다. 사회를 맡은 김상범 블로터닷넷 대표는 “50개의 언론사 사장들이 모였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굳이 정의하자면 언론이 민의를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 민의가 바로 언론이 되는 실험인 셈이다. 이날 모임은 인터넷 신문 오마이뉴스와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인 곰TV를 통해 실시간 중계됐다.
오마이뉴스와 곰TV를 통해 중계되는 동안 화면 한쪽에는 네티즌들의 댓글들이 계속 올라왔다. 태터앤미디어 관계자는 행사 끝 무렵 댓글들을 정리해 문 후보에게 몇 가지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 완벽한 쌍방향 미디어를 구현한 셈이다. 이날 모임에서는 취업난으로 고민하는 대학생과 박봉에 시달리는 비정규직 노동자, 내년 봄 출산을 앞둔 예비 엄마, 30년 장기 대출로 최근에 아파트를 구입한 주부 등의 질문이 이어졌다.
흥미로운 것은 이제 누구라도 블로그를 운영하고 이 블로그를 인터넷 신문에 등록하기만 하면 선거법에 저촉되지 않고 정치인을 인터뷰하거나 간담회 등을 개최할 수 있게 됐다는 사실이다. 굳이 블로터닷넷이 아니라도 미디어다음 등 포털 사이트의 블로거 기자단에 참여해 활동하는 방법도 있다. 분명한 것은 기자와 블로거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누구라도 미디어를 소유하고 자신의 생각을 세상과 소통하는 길이 열렸다는 이야기다.
태터앤미디어와 블로터닷넷은 릴레이 간담회 두 번째 모임으로 권영길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와의 모임을 이달 중순께 계획하고 있다.
선거법에 저러한 규정이 있었군요. 이번 뿐만 아니라 늘 덕분에 좋은 정보와 생각의 기회를 얻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드리며.. 트랙백이 안보내지는 관계로 댓글로 대신합니다. ^^
어제 곰tv를 통해 시청했는데.. 글 잘읽었습니다^^
선거법과 관련해 설명하신 이슈가 있었는지는 몰랐네요^^
하여튼, 정말 세상이 많이 바뀌었고, 지금도 바뀌고 있는 것 같습니다.
블로그라는 미디어툴이 민의에서 실제 정치까지로의 유통경로를 확 단축시켰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