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퀵으로 받아다 봤는데, 아무 내용 없습니다. 표지에 사과문 안내가 두 줄 들어갔고 본문에 사과문이 달랑 한 페이지. 어제 아침 동아일보에 난 내용과 같습니다. 아래 글에도 썼지만 신동아 기자들도 막판까지 무슨 기사가 나갈지 몰랐다고 합니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Similar Posts
비판 언론 겁박하는 원칙 없는 사후 검열.
[기획연재] 감시사회를 말한다 ③ 공정성 의심 받는 공정성 심의… 제재 결정하고 조항 꿰맞추기도. “전체 언론을 심판하는 거의 사법부에 준하는 독립기관이…
물가보다는 경기회복에 ‘올인’, 부작용은 없나.
한국은행이 결국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9일 기준금리를 연 5.25%에서 5.00%로 0.25%포인트 내리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8월 금리를 인상한…
집단지성으로 만드는 티셔츠? 두잉의 미완의 실험.
지난 13일 서초동 화이트홀에서 열렸던 오픈 비즈니스 컨퍼런스에서 사례 발표의 하나로 소개된 두잉(www.dooing.net)에 대한 청중의 반응은 “비슷한 사이트가 이미 많이…
문희상, “국가보안법 대체입법 받아들일 수 있다.”
2일 열린우리당 당의장으로 선출된 문희상 의원이 여야 합의를 전제로 국가보안법 대체입법을 도입할 수도 있다는 의사를 밝혀 주목된다. 문 의장은 이날…
‘죄수의 딜레마’, LG필립스LCD의 고민.
LG필립스LCD는 요즘 ‘죄수의 딜레마’에 빠져있다. 이 회사뿐만 아니라 세계 TFT-LCD(초박막 액정표시장치) 업체들이 모두 비슷한 딜레마로 고민하고 있다. 엄청난 규모의 설비투자를…
연합뉴스의 미네르바 때리기, 왜.
미네르바가 또 인터넷을 뜨겁게 달궜다. 포털 사이트 다음 아고라 게시판에서 활동하는 미네르바는 지난 9월 리먼브러더스 파산 등을 정확히 예견해 인터넷…
2 Comments
Leave a Reply Cancel reply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
우리나라 “1류 언론사”의 현실을 잘 보여주고 있군요.
한글자의 수식어조차 필요 없군요.
판매부수를 올리기위한 고도의 낚시질 전략은 아니었을까요….
(오랜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