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의 공동 설립자 고든 무어는 마이크로칩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용량이 18개월 마다 두배씩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를 무어의 법칙이라고 한다. 삼성전자 황창규 사장은 반도체 메모리의 용량이 해마다 두배씩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른바 황의 법칙이다. 황의 법칙은 무어의 법칙을 대체하는 정설로 인정받고 있다.

돌아보면 삼성전자는 1999년 256MB 낸드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를 처음 개발한 이래, 2000년에는 512MB, 2001년에는 1G를 개발했다. 2002년에는 2G, 2003년에는 4G, 2004년에는 8G, 2005년에는 16G, 지난해에는 32GB 개발까지 성공했다. 32GB면 MP3 파일 8천개에 단행본 220만권을 한꺼번에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다.

이런 메모리를 저장장치로 쓰면 어떨까. 물론 USB 메모리는 다들 쓰고 있지만 아예 하드디스크 대용으로 컴퓨터에 내장하면 어떨까. 이런 아이디어에서 나온 새로운 저장장치가 바로 SSD다.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 쉽게 풀어 말하면 고체 디스크 또는 반도체 디스크라고 할 수 있다.

자기 저장 방식의 하드디스크는 충격을 받으면 데이터가 날아가거나 알 수 없는 이유로 배드 섹터가 생기기도 하고 무엇보다도 시끄럽고 뜨겁다. 모터로 돌리는 디스크를 핀으로 읽는 방식이라 지름 안쪽과 바깥쪽을 읽는 속도도 다르다. SSD는 하드디스크의 이런 단점을 해결하는 대안이 될 수도 있다.

뉴틸이라는 곳에서 필드 테스터를 모집한다길래 궁금증이 생겼다. 과연 SSD가 하드디스크를 대체할 수 있을까. 플로피 디스크나 거슬러 올라가면 테이프 레코더가 사라졌던 것처럼, 그리고 CD가 DVD에 자리를 내주고 있는 것처럼 하드디스크도 이제 지나간 시대의 유물이 되는 것일까.

뉴틸에서 받아온 SSD는 세계 최초로 익스프레스 카드 슬롯과 USB 포트를 동시에 지원하는 제품이었다. 아직 프로토 타입 단계라 직접 손으로 만들었다고 했다. 그래서 그런지 쇠를 깎아서 만든 것 같은 거친 디자인이다. 그날 시연회에서는 이런 디자인으로는 절대 시장에서 성공할 수 없다는 이야기까지 나왔다.

첫 번째 관건은 무엇보다도 가격이었다. 아직 정확한 가격은 결정되지 않았지만 4GB 제품이 8만원 이상, 16GB 제품은 20만원대 후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 노트북용 하드디스크의 경우 100GB 제품을 8만원 수준이면 살 수 있다. 일반 PC용이라면 400GB 제품도 10만원 수준에 살 수 있다.

두 번째 관건은 속도다. 구체적인 벤치마크 테스트는 따로 해봐야겠지만 약간 빠르다는 느낌 이상은 아니었다. 요즘은 워낙 하드디스크의 속도가 빨라진 덕분이다. 물론 USB 메모리나 USB 외장하드보다는 상당히 빠르지만 가격을 감안하면 직접적인 비교 대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세 번째 관건은 전력 소모다. 물론 하드디스크보다는 훨씬 전력 소모가 적다. 그러나 생각해 보면 노트북에서 가장 전력을 많이 잡아먹는 부품은 LCD 화면이다. 하드디스크를 SSD로 바꾼다고 해도 배터리 지속 시간이 크게 늘어나는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다. PC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전력 소모 때문에 SSD를 쓴다는 건 말이 안 된다.

그렇다면 SSD를 써야할 이유가 어디에 있는가.

우선 SSD의 매력은 읽고 쓰는 속도 보다는 데이터 액세스 속도에 있다. SSD와 하드디스크의 구조를 생각해보면 쉽다. 하드디스크는 핀이 왔다 갔다 하면서 디스크를 읽는 방식이고 SSD는 메모리에서 바로 불러들이면 되는 방식이다. 짧은 시간 안에 여러개의 파일을 한꺼번에 읽어야 할 때 SSD의 속도는 놀랄만큼 빨라진다.

이를테면 사진 수천장이 들어있는 폴더를 열어 미리 보기를 할 경우, 하드디스크라면 컴퓨터가 거의 맛이 가겠지만 SSD는 상대적으로 스크롤이 훨씬 부드럽다. 대용량 게임을 할 때나 읽고 쓰는 작업이 많은 프로그램을 돌릴 때 SSD의 매력을 절감할 수 있다. 문제는 이런 속도의 차이가 10배 이상의 비용을 지불할만큼 매력적이냐는 것이다.

안현철 사장은 윈도우XP의 스왑파일이나 윈도우 비스타의 레디부스트를 SSD 파티션에 지정하면 속도가 훨씬 빨라진다고 설명했지만 굉장히 비효율적인 발상이다. SSD는 D램 메모리보다 훨씬 비싸다. 속도를 늘려야 한다면 시스템의 메모리를 늘리지 굳이 왜 SSD를 사야 한단 말인가.

그러나 속도에 민감한 사용자라면, CPU와 메모리를 최적의 상태로 업그레이드하고도 하드 디스크의 읽고 쓰기 속도 때문에 답답한 사람이라면 하드디스크를 SSD로 대체하는 것도 좋다. 운영체제만 SSD에 집어넣고 데이터는 하드디스크에 두는 것도 좋다. SSD는 귀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에도 훨씬 더 안전하다.

낸드 플래시 가격이 내려가면 SSD의 가격도 지금보다 훨씬 더 내려갈 수 있다. 그러나 그때쯤이면 하드디스크 역시 훨씬 용량이 늘어나고 가격 또한 낮아질 것이다. 아마도 장기적으로는 SSD가 살아남게 되겠지만 SSD가 지금의 하드디스크 정도로 가격이 충분히 낮아질 때까지 그때까지만 하드디스크는 살아남을 것이다.

물론 생각하기에 따라서 용도는 얼마든지 있다. 얇기 때문에 셔츠 주머니에 쏙 넣을 수도 있고 USB 메모리 보다 용량도 훨씬 크다. 하드디스크를 추가로 늘릴 수 없는 노트북 사용자라면 SSD에 리눅스 등의 다른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듀얼부팅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직접 시도해보고 결과를 따로 적을 계획이다.

아직은 장점보다 단점이 더 많아 보이지만 결국 SSD는 추세가 될 것이다. 그렇게 보면 이 SSD는 너무 일찍 왔을지도 모른다. 언젠가 오기는 오겠지만 지금은 시장성을 확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용량이 지금보다 훨씬 늘어나고 가격이 충분히 낮아지기까지 얼마나 걸리느냐가 관건이다.

Similar Posts

10 Comments

  1. “아마도 장기적으로는 SSD가 살아남게 되겠지만 SSD가 지금의 하드디스크 정도로 가격이 충분히 낮아질 때까지 그때까지’만’ 하드디스크는 살아남을 것이다.”
    그때까지만 -> 그때까지는 이 더 문맥에 맞는 것 같습니다…
    잘 읽다가 자꾸 태클만 거는 느낌이 드네요 ㅋㅋ

  2. 저도 SSD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은 가격이 쉽게 다가 갈 수 있지 못하는것 같습니다. 이 부분이 해결 된다면 대세로 돌아 서겠지요. 물론 조만간 그런 날이 올 것으로 생각하고 있구요.. ^^

  3. 장기적으로 플레쉬메모리가 더 오래 살아남을까요? 하드디스크가 더 오래 살아남을까요?
    플래쉬메모리의 한계도 고려해봐야할거 같습니다.. 무한정 확장이 가능하진 않을테니..

  4. 제가 알기로는 D램이 SSD램보다 비싼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플래쉬 메모리가 집적도나 수율이 더 높다고 하네요. 요즘 동일 용량의 램보다 USB 플래쉬 드라이브가 싼 이유도 거기에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SSD램만해도 8만원에 16GB이지만 D램의 경우 시중에서 8만원이면 2GB도 사기 힘들거든요. 플래쉬 드라이브나 SSD램은 패키징 가격도 있을텐데 말이죠.

  5. 다른 하드웨어들의 속도는 항상 진보하면서 빨라지고 있는데 하드 디스크는 항상 같은 속도라 깝깝했었는데 SSD의 개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 진다면 PC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할거 같습니다.

  6. ^_^ 안녕하세요, 얼마전 달훈선배, 정환선배, 경숙선배 모임에 쫄래 따라갔던 황국상이라고 합니다…. 이제야 와서 인사드리네요…

    많이 읽어보진 못했지만 선배께서는 팬도 많으신 듯 하네요 @_@

    가끔 와서 인사드리겠습니다~! 그리고 그 때 들었던 충고 다시 한 번 가슴에 새기며…! ^_^

  7. 깊이 있는 통찰 잘 읽었습니다.
    문득 생각이 스쳐 사족이지만 붙여 봅니다.

    HDD로 밥먹고 사는 기업이 상당수 있는만큼, HDD 가 상당히 오래 살아남을 것임은 분명해 보입니다. 더불어 SSD 가 고질적인 HDD 의 병목현상에 대한 돌파구임도 분명하구요.

    pc 만 생각할 게 아니라, 기업 솔루션까지 생각해 본다면 장기적으로 SSD가 결국 HDD 를 대체할 수준이 될 수 있는 충분한 여건이 되어 보입니다.

    대체를 위한 관건은 가격인데요. 기업용 솔루션의 경우 병목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는 현 상황을 볼 때, SSD 가 기업용 솔루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는 여건이 충분하고, 이렇게 되었을 때, 기업에서 사용하는 서버급 컴퓨터부터 SSD 의 채용 바람이 불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 수요가 차츰 늘게 되고, 벤더에서는 지속적인 기술 개발로 SSD 의 가격을 낮추고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지겠지요.

    다 아시는 내용이겠지만… 슬쩍 끼어들어 봅니다. ^^;

  8. 기업용 Storage Disk 분야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SSD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하고 계신 것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현재 디스크는 CPU 발전 속도에 비해 현저히 느리기 때문에 어떻게든 디스크 단에서의 병목 현상은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문제때문에 대형 외장 스토리지 시스템들은 막대한 캐시와 컨트롤러로 동시 쓰기(Stripe)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 역시 역시나 비용에 걸립니다. 대량의 트랜잭션 처리를 위해 현재 기업의 일부 시스템들은 SSD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며 이미 진행중인 곳도 있습니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한 저장장치 역시 있습니다.

    적어도 10년 정도는 HDD가 사용될 것이지만 대형 스토리지 업계에 있는 제가 봐도 HDD는 지는 해입니다. 가격이 떨어지는 것은 순간일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뉴틸이라는 곳이 어떤 회사인지는 정확히 잘 모르겠습니다만, SSD의 타겟 마켓이 잘 못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시장성으로봐서 현재 집중해야 할 것은 소매 시장이 아닌 기업 시장이며 향후 6~7년 정도가 지나면 디스크에서 SSD와 같은 저장장치로 이동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대로 SSD를 이용하여 스왑파일이나 레디 부스트에 쓰일 수 있다는 것은 다소 억지춘향격이라고 생각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이쪽 업계, 스토리지 업계에 있는 한 사람으로서 한 말씀 남겨 봅니다.

  9. 이정환님을 PC사랑에서 보게 될 줄이야. ^^;
    PC사랑보다가 SSD에 정환님 발견하고 반가워서 댓글 남겨요.사실, 제가 더욱 더 반가워하는 이유는 저도 PC사랑 필자거든요.이번달에 웹위젯에 대한 글을 기고하였거든요.

    혹시, MSN 이나 Nateon 사용하시면 등록 부탁 드려도 될까요?
    MSN: doimoikr@hotmail.com
    Nateon: doimoi@nate.com

Leave a Reply